파워포인트 테마를 만들 때에도 직업에 귀천이 없듯 이분법적으로 나눠 무엇은 좋고, 할 수 있고 무엇은 그렇지 않다 미리 판단하지 말고 떠오른 아이디어들을, 또는 보게된 무언가를 한번 아무 생각없이 담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더 좋은 것은 그것들을 파포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템플릿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적용해보는 것일거구요.
직업에 귀천이 없음에 대해 얘기했던 이유는 어떤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이라는 그 순수하고 본질적 행위에 대한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더 크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파워포인트 테마 또한 내 스스로가 자신도 알지 못하는 기준을 두고, 또 그것을 틀에 가둬두며 디자인에 경계를 두고 제한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파워포인트는 상당히 다양하게, 그리고 오히려 크리에이티브하고 신선하게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라 보는데요.
오늘 글의 처음에 이와는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사진을 넣은 이유도 그와 같은 맥락일 것 같아요.
우리가 만드는 피피티는 딱 무언가 정해진 양식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그 자체가 무엇을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제한적 성격을 갖게 하는 것 같구요.
무엇을 담아야 하고 담지 말아야 한다는 법이 존재하는 것 또한 아님에도 우리들이 이를 만들기에 앞서 생각하는 과정에 떠올리는 것들에는 많은 제한사항들, 즉 스스로가 정한 생각의 범위가 상당히 좁게 마련되어 있음을 알게 되는데요.
그 보다는 넓게 보고 무엇이든 파워포인트의 개념으로 해석해본다면 오늘의 저 처럼 이게 파포에? 라는 생각이 들 디자인 테마를 담아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옳고, 그름을 얘기하고 싶은 것도 아니며, 이번 자료가 대단하거나 효율적이거나 최상의 테마로 제작될 수 있음에 대해 전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구요.
단지 우리가 기획 단계에서 하는 생각들이 너무 편협하지 않은가에 대한 고민, 반성, 그리고 그런 생각의 전환이 매우 중요하다는 제 사견을 전하고 싶었답니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지금 파워포인트 테마에 각각의 디자인 소스로 많이 넣는 그런 양식들 또한 시작은 그러했을 것이고 또 가만히 보면 아주 친숙한 것들임을 알게 되는데요.
포스트잇의 모양, 핀 모양 등도 파포에 많이 쓰시잖아요
레이블이나 레이아웃 형식으로도 말이죠.
그것들 모두 다 우리 책상 위에 있는 것들이기도 하구요.
누군가는 그렇게 접근했을 것이라 봐요.
가까운 곳에서, 누구든 알고 있고 공감하는 일상속 우리에게 익숙한, 친숙한 것들을 파워포인트에 담아내 보자.
그건 주의를 이끌 수 있는 아주 쉬운 소스가 될 것이구요.
그렇다면 집안 구석 구성 존재하는 여러 물건들 또한 파워포인트 테마로 못만들어볼 이유도 없지 않을까요.
물론 그와 관련된 주제를 갖고 있을 때 선택해볼 수 있는 것이기는 하겠지만 모니터만 보면서 테마를 기획할 것이 아니라 주변을 둘러보며 '공감'할 수 있는 친숙한 소스를 파워포인트에 어떻게 담아내볼 수 있을까를 생각해본다면 보다 더 구체적인 생각의 대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얻기 굉장히 쉬워지기도 할 것입니다.
키친타월이 펼쳐진 모습을 배경으로 표현해 써보게 되는 것 처럼 말이죠.
기획과 아이디어,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면 너무 어렵잖아요.
그럼 지금 부터는 내가 만들어야 될 보고서나 기획서의 주제를 생각하며 그것과 연관되는 구체적 대상을 하나씩 떠올려 보세요.
그리고 그걸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대입시켜 생각해본다면 의외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오피스 강의 > PPT 파워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포인트 템플릿 깔끔함을 담는다는 생각으로 (0) | 2017.12.15 |
---|---|
원형 교차로를 ppt 스왓 분석 페이지로 디자인 (0) | 2017.12.14 |
재배포 예방에 함께해 주세요 (0) | 2017.12.12 |
ppt 깔끔하게 잘 만드는법 색상과 크기 (0) | 2017.12.11 |
파워포인트 인포그래픽으로 담아본 구의역 그리고 제주 (0) | 2017.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