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포인트 배경을 조금은 독특하면서도 친근감 있게 만들고 또 그것을 통해 이 자료를 보시게 될 많은 청중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또 좋은 인상과 평가를 받고 싶어하는 것은 모든 작업자들이 갖고 있는 마음이겠지요?
하지만 만들다 보면 정작 그런 차별화된 것들 보다는 판에 박힌, 또는 그냥 ppt 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서식들을 갖고 내용을 정리하게 되니 뭔가 애착도 안생기고 다 만들고 나서도 마음에 안드는 경우들도 많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작 파워포인트 배경을 직접 만들고자 결론짓고 슬라이드를 보고 있으면 도무지 어떻게 꾸며야될지 고민만 더 커지게 되는 것도 사실인 것 같구요.
그럴때 지금 내 눈에 들어오는 것에 한번 관심을 가져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 자료의 컨셉 같은 경우 일반적인 형태의 배경 서식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조금은 특이한 것을 만드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그럴 때 세부적인 소스를 찾는데 있어서 제일 쉬운 방법은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 자신의 모습, 그 시선이 닿는 곳, 주변을 살펴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것들이 눈에 들어오시나요? 또는 뭐가 보이시나요?
키보드도 보일 것이고, 모니터도, 이런 저런 사무용품이나 학용품들, 기타 자신의 소지품들이 많이 보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것을 소스로 활용해보는 것이 오늘 글의 핵심입니다.
그 예로 저는 작은 달력 하나를 파워포인트 배경으로 만들어 활용해보고자 했구요.
하지만 이렇게 별도로 양식을 만드는 것이 그리 편하지는 않은 이유는 결국 모양을 다 직접 만들어야 하기 때문인데요.
근데 또 오늘 만드는 과정을 보시면 아실텐데 귀찮은 과정일 뿐 만드는 것이 어려운 것은 또 아니기는 합니다.
결국 내 시선에 들어온, 컨셉으로 잡은 그 대상을 보면서 똑같이 만들고 따라서 표현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대로 표현을 해주면 됩니다.
물론 그렇다고 누구나 다 느낌을 살려내면서 만들어내기는 어려울 수도 있기는 할 것 같기도 해요.
사용하는 파워포인트의 기법이나 기능들이 특별하지는 않지만 점편집이나 그림자를 별도로 만들어서 효과를 주는 부분들 이런 것들이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아마도 표현에 어려움이 따들 수 있을 것이기에 자주 만들어보시는 것이 제일 중요하기는 할 것이구요.
그렇기 때문에 제가 우선은 원본 자료를 ppt bizcam에 공유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이런 그림자들 같은 경우에도 파워포인트의 각 효과들에 대해 많이 써보시고 그것들의 차이나 적용 시 변화들에 대해 잘 알고 계시다면 아~ 이렇게 표현하면 되겠구나, 이렇게 만들면 되겠구나 라는 상상들이 되실거에요.
그리고 이번 파워포인트 배경의 경우 전체적인 감성이나 이것의 형태나 특징에 있어서 제일 중요했던 부분이 바로 이 고리, 스프링 부분이었는데요.
이것이 없다면 보시는 분들께서는 이게 뭔지 전혀 알 수 없을 것이기도 하고 그래서 참 중요한 부분이겠지요?
하지만 그것을 만드는데 있어서 어려워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원으로 홈을 표현하고 그 안에 들어가는 스프링은 사각형 도형을 그라데이션을 통해 입체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표현만 해주면 되기 때문에 사실 생각보다는 간단하게 만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경 하나를 다 만들었는데, 사실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사용할 수 없는 공간들이 많이 생긴다는 것에 있는 것 같아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표현 방법이나 레이아웃 구성을 좀 더 고민하면서 만들어야 된 다라는 반성과 생각을 해보게 되었구요.
당장 본 양식을 기준으로 그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보통 상단에 적어주는 해당 페이지의 제목을 달력 하단의 받침대 부분으로 배치해보는 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급 드네요. ^^
'오피스 강의 > PPT 파워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아이콘 혹시 단색이라면 ppt에서 컬러로 (0) | 2016.10.26 |
---|---|
ppt 배경 색상이 참 중요하죠 (0) | 2016.10.24 |
ppt 목차와 같은 양식을 만들 때 (0) | 2016.10.17 |
ppt 만드는 방법에 shape 기능 적극 활용하자 (0) | 2016.10.12 |
파워포인트 디자인 퀄리티 단번에 높이기 (0) | 2016.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