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피스 강의/PPT 파워포인트

ppt 이미지 jpg 저장 화질 높이는 방법

by 비즈캠 2023. 2. 9.
반응형

ppt 로 작업한 템플릿을 jpg 등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해야 될 때가 있죠?

웹상에 게시하거나, 또는 이 ppt를 만든 것이 단순히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것이 아니라 포스팅을 위한 것이었다면 더더욱 그러할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 설정 상태로 아래와 같이 사진으로 저장하면 화질이 선명하지 않아요.

보통 이렇게 다른 이름으로 저장에서 파일 형식을 바꿔 이미지 파일로 저장을 하는데요.

16:9의 와이드 슬라이드에서 작업한 것을 이렇게 저장하면 가로 픽셀 기준 1280 밖에 되지 않습니다.

dpi 역시도 어떤 것은 72dpi로 아주 낮게 저장되기도 하구요.

그래서 위와 같은 설정을 바꾸기도 합니다.

ppi를 바꾸는 것인데, 사실 결론적으로 이 방법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써 화질이 높아지지 않아요.

dpi가 아닌 ppi 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구요.

그래서 오늘 2가지 다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첫번째 방법은 파워포인트의 레지스트리 값을 추가해 주는 것입니다.

방법을 아주 자세하게 단계별로 하나씩 소개해 드릴게요.

1. 윈도우 버튼과 함께 R버튼을 누르면 실행 창이 뜨는데요.

2. 여기에 regedit 을 입력해 주고 확인을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이 되구요.

이제 부터가 진짜 셋팅입니다.

1. 우선 아래 이미지에 적힌 경로로 이동합니다. 좌측 폴더들이 보이죠? 그걸 클릭해 가면서요.

2. 그 후 DWORD (32비트값) 으로 새로 만들기를 해주세요.

3. 이것의 이름을 대소문자를 동일하게 해서 바꿔줍니다.

4. 이름이 바뀐 항목을 마우스 우버튼 클릭해 수정으로 들어갑니다.

5. 10진수로 선택하고 값에 300을 적어주세요.

※300dpi가 되는 것으로 이 수준은 책 인쇄, 포스터 출력, 큰 현수막 까지도 출력 가능한 고해상도 입니다.

그렇게 다 셋팅을 했으면 끝내기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레지스트리 값을 추가하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의 방식으로 동일하게 jpg 이미지를 저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레지스트리 추가 전 ppt 이미지 파일의 속성을 보면 아래 처럼 1280픽셀인데요.

dpi도 낮죠?

하지만 레지스트리 값 추가 후 ppt 이미지 저장을 해주면 4000픽셀에 dpi도 300으로 바뀐 것이 확인됩니다.

이게 그냥 속성상에서만 값이 바뀐건가 싶기도 하죠?

하지만 두 이미지 파일을 3배로 확대해 이렇게 비교해 보면 실제로도 아주 고화질의 이미지로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겠구요.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위의 방식이 좀 마음에 걸리는 분들께 현실적인 팁일 것 같아요.

별 다른 방법은 아니고 그냥 처음 작업 시작하실 때 슬라이드 크기 자체를 키워주고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기본이 가로 30cm 세로 10cm 였다 라고 한다면 그 값을 그냥 3배, 4배로 늘려주고 하는 겁니다.

그렇게 해주면 사진 자체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고화질 이미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kKD-N_hZrFY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