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포인트에서 쓸 다이어그램을 직접 만들어 쓴다면 디자인적으로 좀 더 강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 자료를 보실 분들의 시선을 확 사로잡을 수 있을텐데요.
사실 다이어그램이 중요한 이유는 이런 이유 이전에 결국 얼마나 본문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느냐,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느냐 라는 것과 연관되어지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겠지요.
그리고 아마 모든 분들께서 그것에 대한 분명한 니즈들을 갖고 계실 것 같고
이것들의 변화, 어떻게 구성하고 디자인 하느냐에 따라서 전체적인 파워포인트의 느낌과 수준이 올라간다는 것도 잘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뭘 어떻게 만들어야 될지, 어렵다 라는 막연한 생각이 그냥 스마트 아트나 기본 도형 그 자체의 순수한 모양을 유지한 상태로 진행하시는 경우들이 많지요.
이것이 잘못된 방법이거나 낮은 수준이라는 말씀을 드리는 것은 전혀 아니구요.
좀 더 색다른 표현, 디자인을 하고 싶으실 때 어떻게 변화시키고 스타일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를 소개해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그 방법이 절대 누구도 하지 못할 어려운 것이 아니라 다~ 할 수 있는 쉬운 것임을 특히 강조해드리고 싶었구요.
아마 다수의 분들께서는 파워포인트를 다루실 때 이 점 편집이라는 기능을 잘 안쓰실 것이고 써보신 경험도 별로 없으실텐데요.
이는 원하는 모양으로 도형을 변경시켜준다는 것을 기본으로 이와 그림자, 색상이라는 딱 두가지 효과적인 부분이 더해진다면 그래픽적인, 입체적인 디자인 서식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시작, 기초 과정이라고 소개해드리고 싶습니다.
방법은 그냥 도형 선택 후 서식에서 점 편집 메뉴를 활성화시켜
흰색과 검정색의 조절 포인트를 마우스로 이동시켜 각도나 라인을 바꿔주는 것이구요.
점 편집이 기초라면 그림자는 심화과정일 것 같은데요.
그렇다고 어려운 것은 아니고, 우리가 파워포인트를 만들 때 적용하던 그림자의 선택 방법에서 벗어나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우린 그냥 어떤 개체에 그림자를 넣고자 할 때 그 기능을 그냥 쓰잖아요.
좌우, 상하, 대각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로 말이지요.
하지만 이것이 갖는 단점은 그 개체 본연의 형태를 기반으로 그림자가 들어간다는 것에 있습니다.
그래서 깊이나 거리감을 표현해주는데 한계가 있지요.
만약 이렇게 대충 C자 형태로 구부러진 좌측면으로 그림자를 넣었을 때 그냥 그 라인 그대로 C자 형태로 그림자가 들어가겠지요.
그럼 그 파워포인트 디자인에는 특별함은 없어요.
그리고 직사각형을 점 편집으로 이렇게 변형시킬 이유도 없구요.
C자 형태로 구부러진 도형의 뒷쪽으로 평행사변형을 배치해 그림자의 역할을 시켜본다면 어떤 느낌이 날까요?
그림자의 성격, 느낌을 내기 위해 가장자리를 흐리게 처리해주는 과정을 거친 개체를 이렇게 넣어보면
벌써 느낌 오시지요?
위 아래쪽이 붕~ 떨어져 있는 것 처럼 표현될거에요.
조금 더 재미 요소를 넣고자 한다면 원통 하나로 충분히 가능할 것이고
오늘 만든 파워포인트 디자인이 원근감과 입체감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라데이션으로 색을 칠해주시는 것이 이질감이 없을거에요.
이런 정도로 말이지요.
위와 같이 사각형을 점편집으로 약간 변형을 시켜주시고 그 뒤에 평행사변형으로 그림자를 만들어주는 것 만으로도
나만의 독특한 파워포인트 다이어그램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한번 소개해드렸는데요.
어렵지 않은 방법이지만 아마 조금은 익숙해질 시간, 경험들은 조금 필요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하지만 분명한건 절대 어려운 방법은 아니라는 것이구요. ^^
많이 연습해보시구요.
특히 그림자 부분은 제가 어떻게 세부 설정을 했는지 궁금하시다면 원본을 받으셔서 하나씩 뜯어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
'오피스 강의 > PPT 파워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포인트 배우기 뭐 필요한가요 (0) | 2017.05.19 |
---|---|
요리 주제로 ppt를 만드셔야 할 경우 써보세요 (0) | 2017.05.17 |
PPT 배경의 컨셉으로 못 쓸 것은 없어요 (0) | 2017.05.15 |
파워포인트 배경 책꽂이에 하나쯤 있을 그것으로 (0) | 2017.05.10 |
카톡하는 것 처럼 PPT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0) | 2017.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