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

틀리기 쉬운 맞춤법 알고 보면 쉬운데

by 비즈캠 2017. 2. 17.
반응형

틀리기 쉬운 맞춤법들이 몇가지 있지요?

아무래도 우리가 자주쓰는 말들 속에 등장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럴 것이라 보는데요.

오늘은 예~전에 제가 또 다른 곳에서 글을 쓰고 있는데 썼었던 자료를 바탕으로 다시 이 내용을 전해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려 하는데요.

그 만큼 중요한 것이기도 하고, 잠깐이면 조금만 들여다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기에 알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제 보니 제가 이 내용을 작년 한글날 즈음에 썼었나 보네요.

한글날은 10월 9일이니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애민 정신을 잘 이해하고 비록 작은 것일지 모르지만 틀리기 쉬운 맞춤법들 몇개라도 이해해 글을 쓰는데 있어 그 정신을 이어 나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이게 중요한 것이 SNS 등 온라인상에서야 편의상, 세대의 특성상 줄여쓰고 또 신조어를 통해 소통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지만 그것이 이력서를 쓴다거나 자소서를 쓰고, 또 보고서나 과제를 하는데 까지 영향을 미쳐 요즘 보면 참 말이 아니거든요.

 

결국 그것이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이니 맞춤법은 너무나 중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첫번째로 제가 소개하는 자주 틀리는 맞춤법은 왠과 웬의 차이와 구별법인데요.

정말 은근히 헷갈리지요?

하지만 이를 구별할 수 있는 아주 쉬운 방법을 우리 젊은 세대들이 많이 하는 줄임말에서 찾을 수 있답니다.

즉 왠은 왜인지의 줄임이라 이해하시면 쉬울 듯 한데요.

왜에 인의 받침인 니은이 붙은, 또 더 쉽게는 빨리 말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구요.

 

 

두번째 틀리기 쉬운 맞춤법은 상당히 자주 쓰이는 것이기에 더더욱 와 닿으실 것이라 보는데요.

우린 보통 이 서와 써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써로 쓰는 경향이 있지요.

하지만 어떤 자격을 나타내는 글에는 서를 써야 한다는 것만 기억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써는 원인에 따른 결과를 얘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때문에"의 된소리를 함께 떠올린다면 구별하기 쉽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것도 참 자주 사용하는 말이지요?

그리고 앞선 서와 써와 같이 우린 보통 개인에 따라 든이나 던 둘 중 하나만으로 글을 쓰고 말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분명 둘 이상의 것 중 하나를 선택하는 '든' 과 과거를 얘기하며 회상하는 말에 쓰이는 던은 차이가 분명합니다.

 

 

이 맞춤법 같은 경우에는 전 이렇게 이해해보곤 하는데요.

꽤는 꾀와 비교했을 때 모음 어가 하나 더 들어가 있잖아요?

더 많으니까 그 의미도 상당히 많은, 제법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구요.

 

 

 

이 다섯번째로 소개해드리는 틀리기 쉬운 맞춤법은 상당히 많은 분들께서 후자인 어의없다로 쓰시곤 하지만 정말 어이없이 틀리기 쉬운 표현이지요?

어처구니 라는 그 말의 어원에서 부터 이해를 해본다면 좋을 듯 하고

이렇게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의 경우 또 이렇게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그 말 속에 답이 있다고 보는데요.

 

어이없다. 없다!!

 

즉 'ㅡ' 또한 없는 것이 맞다 라고 말입니다. ^^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리는 틀리기 쉬운 맞춤법은 사실 어디에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는 것이라 글로 적느냐, 말로 하느냐를 구분지을 필요가 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글로 쓸 때는 '네' 로 표기하는 것이 옳음만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